반응형
변수선언과 print()
1. 코드
season = '겨울'
print('지금은', season, '입니다.')
2. 결과
지금은 겨울 입니다.
주석표시
#주석입니다아아아아
"""
여러 줄 주석은 이렇게 처리합니다아아아
"""
자동완성(Shell)
앞 1~2글자 입력 + tab 키 누르면 자동완성 기능
IF문
if True:
print("조건식이 True이므로 실행됩니다.")
if False:
print("조건식이 False이므로 실행되지 않습니다.")
** 주의 : if문 아래줄은 들여쓰기 되어야 한다.
from datetime import datetime
hour = datetime.now().hour
#현재 시간이 12시보다 작을때만 print문을 실행하도록 이 아래줄에 if문을 추가하세요.
if(hour < 12):
print('오전입니다.')#if문을 추가한 이후 이 줄은 들여쓰기 되어야 합니다.
IF ELSE문
mine = '가위'
yours = '바위'
if mine == yours:
print("비겼습니다.")
#이 아래줄에 else문을 추가해서 비기지 않은 경우에만 아래 print문이 실행되도록 만들어 보세요
else:
print("비기지 않았습니다.")#else문이 추가되고 나면 이 줄은 들여쓰기 되어야 합니다.
IF ELIF ELSE문
gender = "남자"
if gender == "남자":
print("남자입니다.")
elif gender == "여자":
print("여자입니다.")
else:
print("논바이너리입니다")
현재 시간, 분 구하기
from datetime import datetime
hour = datetime.now().hour
from datetime import datetime
minute = datetime.now().minute
문자열.format()
number = 15
if number % 3 == 0: #number가 3의 배수인지 확인합니다.
print("{}는 3의 배수입니다.".format(number))#이 코드는 실행됩니다.
number = 16
if number % 3 == 0: #number가 3의 배수인지 확인합니다.
print("{}는 3의 배수입니다.".format(number))#이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
number = 20
welcome = '환영합니다'
base = '{} 번 손님 {}'
#아래 3개의 print는 같은 값을 출력
print(number,'번 손님',welcome)
print(base.format(number,welcome))
print('{} 번 손님 {}'.format(number,welcome))
#=>20 번 손님 환영합니다
함수 만들기
a = 5
b = 7
#이 아래줄에 a와 b를 더해서 result에 저장하는 함수add를 만들어 보세요.
def add():
result = a + b #함수 내부의 코드가 되려면 이 줄은 들여쓰기 되어야 합니다.
print(result) #함수 내부의 코드가 되려면 이 줄은 들여쓰기 되어야 합니다.
#이 아래에서 add함수를 사용해 보세요.
add()
def add(a,b):
#함수 add에서 a와 b를 입력받아서 두 값을 더한 값을 result에 저장하고 출력하도록 만들어 보세요.
result = a + b
print( "{} + {} = {}".format(a,b,result) )#print문은 수정하지 마세요.
add(10,5)
Return이 있는 함수 만들기
def add_10(value):
result = value + 10
return result
n = add_10(5)
print(n)
따옴표/큰따옴표를 포함하는 문자열 만들기
#string1을 선언하세요.
string1 = """다스베이더가 말했다.
"내가 니 애비다!"
그 말을 들은 루크는 '깜짝' 놀랐다."""
print(string1)
""" 안에다 '작성'하면 된다. """
정수와 실수
정수
- 영어로 integer, 줄여서 파이썬에서는 int라고 표현
- 정수끼리 더하거나 곱하거나 빼면 정수
-
정수끼리 나누면 실수가 나올 수 있으나, 나눗샘의 몫만을 구하려면 //연산자를 이용
-
a = 5//3 #계산결과 a=1
-
-
실수를 정수로 바꾸려면 int를 이용
- a=int(5.4)라고 하면 a는 5를 값으로 가지게 된다.
실수
- 부동소수점이라는 표현법을 이용해 소숫점을 표시할 수 있는 숫자
-
어느정도의 계산 정확도는 가지지만, 계산에 있어서 완벽한 정확성은 가지지 않는다.
-
0.1+0.1+0.1 == 0.3 #FALSE
-
-
정수를 실수로 바꾸려면 float를 사용
- a=float(5)라고 하면 a는 5.0을 값으로 가지게 된다.
- float끼리 비교하고 싶다면, 값을 float() 안에 넣어서 비교하면 된다.
height = float(169)
h2 = float(169)
if height == h2:
print('같습니다')
-> 결과 : 같습니다.
사용자 입력 받기
print('가위 바위 보 중 하나를 내주세요> ')
mine = input()
print('mine:', mine)
mine = input('가위 바위 보 중 하나를 내주세요> ')
print('mine:', mine)
반응형
'AI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기초 5) 예외 처리, bool값과 논리 연산 (0) | 2021.01.09 |
---|---|
Pythonic Code - split, join (0) | 2021.01.08 |
파이썬 기초 4) 튜플, while문 (0) | 2021.01.08 |
파이썬 기초 3) 딕셔너리 (0) | 2021.01.08 |
파이썬 기초 2) 리스트, for문, 모듈 (0) | 2021.0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