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4153번: 직각삼각형
입력은 여러개의 테스트케이스로 주어지며 마지막줄에는 0 0 0이 입력된다. 각 테스트케이스는 모두 30,000보다 작은 양의 정수로 주어지며, 각 입력은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.
www.acmicpc.net
세 수 중 가장 큰 값을 maxInt에 넣어놓고 리스트에서 그 값을 뺀다.
나머지 두 수의 제곱의 합이 maxInt와 같으면 right, 다르면 wrong을 출력한다.
while(True):
list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if sum(listA) == 0:
break
maxInt = max(listA)
listA.remove(maxInt)
if listA[0] ** 2 + listA[1] ** 2 == maxInt ** 2:
print('right')
else:
print("wrong")
새로 알게된 사실 )
list 이름을 list로 하면 안된다 ! 당연히 안 되는 건데 왜 썼는지 모르겠다 ㅋㅋ
그리고 max(list), sum(list) !!
반응형
'Programming > Coding Te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021 - deque를 이용해서 풀어보았습니다 (0) | 2021.01.12 |
---|---|
백준 1002 - 원의 성질을 이용한 문제 (0) | 2021.01.12 |
백준 13305 - 파이썬으로 그리디 알고리즘 (0) | 2021.01.11 |
파이썬에서 정렬은 어떻게 하나요? 3차원일 때에는? (0) | 2021.01.11 |
백준 1011 - 규칙으로 풀기 (0) | 2021.01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