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OSI[Open System Interconnection] Reference Model - 참조 모델
- 국제 표준화 단체 ISO에서 OSI reference model을 정의
- 네트워크에서 통신 호스트들이 계속 추가될 수 있어야 한다. 그러려면 미리 정의된 통신 관련 표준이 필요하다. 그것이 OSI이다.
- 7개의 layer로 구성
2. 7 layers
- 응용계층 (Application layer)
- 표현계층
- 세션계층
- 전송계층 (Transport layer) : TCP / UDP
- 네트워크계층 : IP
- 데이터링크계층
- 물리계층 (Physical layer)
-> Top - Down : application protocol에 맞춰 application process가 진행됨
-> Application Layer의 프로그램을 짤 때, Transport Layer의 기능을 이용
-> 운영체제 : 전송 / 네트워크 / 데이터링크 계층
3. 인터페이스(interface)
-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간의 연결을 위해 정해둔 방식
4. 프로토콜(Protocol)
- 통신규약
- 1) 메시지 포맷과 순서 2) 절차 정의
- HTTP :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간 프로토콜
- SMTP : 데이터를 email 서버로 보내기 위한 프로토콜
(나) 응용 -> 표현 -> 세션 -> 트랜스포트 -> 네트워크 -> 데이터링크 -> 물리
(상대방) 물리 -> 데이터링크 -> 네트워크 -> 트랜스포트 -> 세션 -> 표현 -> 응용
5. 프로토콜 예
1) 연결
2) GET / Res
3) 데이터 전송
4) 연결해제
6. 프로토콜 계층
-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 존재하는 기능 이용
- 응용 프로세스(응용 계층에 위치)가 상대편 응용 프로세스로 데이터를 전송
: 여러 개의 프로토콜 계층 통과
7. 7 layers
응용 계층
: HTTP, FTP, SMTP등 통신 프로토콜 정의
전송 계층
: TCP, UDP 운영체제에 구현되며, 운영체제로부터 기능 호출(시스템 콜)
네트워크 계층
: IP, 멀리 떨어져 있는 두 호스트 간의 데이터 전달 (라우터 장비 필요)
: 라우터는 IP 주소를 차고하여 전달
데이터링크 계층
: 유선 LAN카드, WiFi 카드, 물리적인 전송 매체 이용
물리 계층
: 구리선, 광케이블선, 비트 열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
'Computer Science > Data Communic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 - 6) 에러 검출, 패리티 비트, 해시 함수 (0) | 2020.11.01 |
---|---|
3 - 2) 다중접속프로토콜, LAN 토폴로지 (0) | 2020.11.01 |